(주)테스트론 > 고객센터 > 자료실

고객센터

TESTRON

고객센터

  • 자료실
 
작성일 : 19-03-06 15:01
절연저항이란 무엇 입니까?
 글쓴이 : (주)테스트론
조회 : 1,884  
절연저항이란 무엇 입니까 ? 

절연[絶緣, insulation]이란 전기 또는 열을 통하지 않게 하는 것이며, 절연저항이란 절연물질의 저항을의미합니다.
절연저항은 매우 큰값이므로 메거옴의 단위를 사용하며, 절연저항의 측정기는 절연저항계 또는 메거
[megger ]라고 합니다.

절연저항의 저하는 누전으로 이어지고, 이는 감전의 직접적인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성능을
떨어뜨리고 파손의 원인이 되기도 하므로 모든 전기제품은 누전여부(절연저항시험)를 확인한 후 출고해야합니다. 

MHT-500W & MHT-38XX 에서의 절연 측정 

① 컨넥터 핀과핀 사이 습기가 많을 때 검출
② 핀 과 핀의 이물질 개입: 금속가루, 먼지 염분, 콜라, 커피등의 음료를 흘렸을 때
③ 절연매개물의 파손이나 화학적 변화, 탄화, 경년변화
④ 전극간 거리 단축:외부의 물리적 충격등에 의한 전극간 이동, 짓눌림에 의한 변형
⑤ 에나멜선의 이상:상처, 아크발생이나 절연의 파괴된 상태
6. 동선에 녹이 슬어 피복이 벗겨진 상태
7. 터미날 압착상태 불량 심선 한가닦이 삐져나와 옆터미날과 근접하여 쇼트가능성이 있는경우

일반적인 저항 적 DVM 이나 저항측정기로 측정시 DC3-9V 정도로 측정할때는 max 20M 옴 까지 측정가능합니다. 
저항이 그이상이면 실제 측정갑은 정확성이 떨어지죠 
DC 500V , DC1000V , DC2000V ..... DC10,000 V 로 저항을 측정합니다. 

높은 저항이기 때문에 저전압을 흘려서는 측정이 불가능 하기에 DC 전압을 높이는 것입니다. 

높은 저항을 측정할려면 전압 또한 높아저야 합니다. 
저항의 측정원리는 옴에 법칙에 준합니다. 그 정도와 차이는 있겠지만 ..
다시말해 절연저항측정기의 사양을 보면 
500V/1000M , 1000V /2000M , 2000V /5000M, 5000V / 1G
등 전압이 높아지면 절연저항을 측정할 수 있는 범위 또한 높아지죠
합격인경우
O/S TEST----------------- PASS
INSUL (A01)> 1.2GOhm
INSUL (A02)> 1.2GOhm
INSUL (A03)> 1.2GOhm
INSUL (A04)> 1.2GOhm
INSUL (A05)> 1.2GOhm

뜻 : INSUL (절연저항), A01, B01 (핀번호) 1.2GOhm (측정값)

불량인 경우 ----200 MOhm 설정시

O/S TEST----------------- PASS
XINSUL (A01) = 107.0 MOhm
XINSUL (A02) = 107.5 MOhm

불량인경우 " X " 를 표시합니다. 

설정된 값보다 높게 측정할수록 좋은것 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