(주)테스트론 > 고객센터 > 자료실

고객센터

TESTRON

고객센터

  • 자료실
 
작성일 : 19-03-06 16:47
누설전류(Leakage Current)란 ?
 글쓴이 : (주)테스트론
조회 : 2,172  
누설전류(Leakage Current)란 용어는 1945년 UL의 Kari Geiges의 논문 "Measurement of Electric Harzard in Radio Equipement에서 최초로 거론 되었으며, 현재 사용되고 있는 Leakage Current 의 측정 방법도 그가 개발하여 표준화 한 것 입니다.
누설전류는 단순히 제품에서 대지로 누설되어 흐르는 전류값만을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인체를 통해 대지로 흐를 수 있는 전류를 측정하는 것입니다.

누설전류(Leakage Current) 란  소전선의 피복또는 전기기기의 절연물이 열화되거나 기계적인 손상등을 입게되면 전류가 금속체를 통하여 대지로  흘러나가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누전이라고 한다. 
즉 누전이란 누설전류가 흐르고 있음을  의미하며 이로 인하여 화재가 발생하고 인명에 손상을 끼칠 수  있으므로 엄격히 제한하고 있다.
실례로 가정 및  공장에서 자주 접하는 누전차단기(ELB)용량은 30mA의 것이 대부분이다.  누설전류의 한계는 화재 방지면에서 최대공급전류의 1/2000을 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통상의 감전이란함은 사람심장이 심실세동을 일으키는 전류의 최소값 수10mA 이상의 전류가 흘렀음을 의미한다. 
그예로 KSC 4613(누전차단기:ELB)에 의하면 누전차단기는 15mA 까지의 누설전류에는 ELB가 동작되지 아니하고 15mA 이상 30mA 사이 에서 동작되어야 한다 라고 되어 있다.
▶ 누설전류의 피해
기계기구나 전기시설물(변압기등 고압기기)과 대지사이에는 안전을 위하여 각종  접지(제1종, 제2종, 제3종, 특별3종)를 시행하는데 접지가 불완전하면(예:제1종  접지저항의 규정치가 10Ω이하 이어야 하는데 10Ω이 넘어 버린다거나  접지가 안  된 경우에는 과도현상이나  뇌서지(수KV)등이 침입했을 때 이것을 소화하지 못하고 기계기구나 전기시설물에 엄청남 충격이 그대로 전해진다) 비상시 누설전류가  크게되어 사람이나 기계에 치명적인 손상을 줄 수 있다.
▶ 의료기기의 누설전류
의료용기계기구의 전기기계적 안전에 관한 공통기준규격인 식품의약안전청고시  1999-64호(IEC601-1) 18.19항
18항:보호접지 저항 및 기능접지를 통한 등전위화에 대한 규정
19항:연속누설전류 및 환자 누설전류규정
▶ 보호접지규정(EARTH BONDING)
보호접지단자(기계기구의 프러그 및 핀) 와 보호접지한 모든 접촉가능 금속사이의   임피던스는 0.1Ω이하일 것.
▶ 누설전류규정(LEAKAGE CURRENT)
의료요기계기구의 전원프러그와 기계기구의 금속사이의 누설전류는 0.1mA 이하  이어야 정상상태이다.